• HALO

    HALO
    2019.6.21.발사



    HALO는 2018년 말부터 개발하기 시작하여 2019년 중순에 개발 완료된 M Class(총 추력 5120-10240 N·s) 로켓입니다.
    HALO는 SACup의 고도 기준인 10000ft(약 3km)에 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모터는 Cesaroni Technology 사의 Pro98 9955M1450-P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모터의 자세한 성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Load Weight 8578g
    Burnout Weight 3610g
    Maximum Thrust 2416.35 N
    Total Impulse 9955 N·s
    Burn Time 6.87s
    Isp 209.7s

    HALO의 동체는 내경 150mm 두께 3t의 GFRP파이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1.2m, 1m의 길이를 가지고 알루미늄 커플러로 연결됩니다. 내부 골격은 4개의 알루미늄 론저론으로 연결되어 외피 없이도 로켓의 구조를 유지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동체 골격의 안정성은 ANSYS, SolidWorks Simulation 등의 프로그램과 수식 계산을 통해 검증하였습니다.
    HALO의 최대 비행 속도가 Mach 0.85로 예상되어 노즈콘은 천음속 영역에서 최소 항력계수를 가지는 LV-HAACK 형상으로 설계하고 FDM 방식으로 3D 프린팅 된 PLA를 재료로 하였습니다.
    핀은 NACA0006 에어포일 형태로 비행 안정성이 2.0 Caliber가 되도록 설계하고 노즈콘고 같은 방식으로 제작하였습니다.
    회수 시스템은 화약이 아닌 압축가스 fitting system을 구축하여 낙하산 사출에 이용하였습니다.
    페이로드는 SACup에 규정에 맞추어 8.8lb(약 4kg)의 페이로드를 10000ft의 고도까지 운송 가능합니다.

    아래는 SACup에서의 발사 영상입니다.


  • IDENTITY

    IDENTITY-0
    2017.7 발사
    IDENTITY-1
    2017.8 발사
    IDENTITY-2
    2018.2 발사


    IDENTITY는 2017년 7월 동안 개발되어 같은 해 7월 29일에 처음 발사된, I class(320-640 N·s)의 총 충격량을 가지는 로켓입니다.
    IDENTITY 개발의 목적은 쉽게 만들 수 있는, 그리고 표준화시킬 수 있는 KNSB propellant를 활용하는 I class 로켓을 얻기 위함이었습니다. 이와 같이 표준화된 로켓이 확보된다면 무선 통신, 새로운 회수 시스템 검증, 그리고 새로운 점화 방식 검증 등의 새로 개발되는 로켓 하위시스템을 시험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2018년 7월에는 기존 IDENTITY-1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개선한 IDENTITY-2의 개발이 이루어졌습니다. IDENTITY-2는 새로운 전자 시스템, 사용되는 동체 및 내부 구조의 변경, 그리고 핀 장착 방식 변경 등의 개선을 통하여 더욱 편리한 조립성을 가집니다.
    아래는 2018년 8월 제 27회 NURA 로켓발사대회에서 발사된 IDENTITY-1의 영상입니다.

  • SNUKA-2

    SNUKA-2 (2017년 6월 발사시도, 실패)

    SNUKA-2는 2017년에 미국 뉴 멕시코에서 개최된 Spaceport America Cup에 출전하기 위해 KAIST 로켓연구실과 공동으로 개발 및 제작한 N-Class급(10,240-20,480 N·s)의 로켓입니다.

  • PARA-1, PARA-2

    PARA-1, PARA-2
    2017.3 발사


    소형 로켓을 안전하게 회수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행이 종료된 로켓에서 낙하산을 사출 및 전개하여 지상에 안전하게 착지시키는 것이 있습니다.
    PARA 시리즈는 화약 폭발을 이용하는 낙하산 사출 모듈을 개발하고 검증하기 위해 개발된 모델로 G class(80-160 N·s)의 총 충격량을 가집니다.
    낙하산 사출 모듈 실험만을 위해 사용되기에, 노즈콘으로는 PLA, 동체로는 지관, 핀으로는 MDF를 사용하는 등 제작비를 최대한 절감하였습니다.

  • MLG-1

    MLG-1 (2016년 8월 발사)

    MLG1은 KNSB 추진제를 사용하며 I-Class 급(320-640 N·s)의 총 충격량을 가지는 로켓입니다. 동체와 노즈콘과 핀, 제어부 등을 모두 3D 프린터로 제작하여 로켓 각 부위의 모듈화를 추구하였습니다.
    핀 앞의 카나드를 로켓이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롤(roll) 모멘트로 인한 진동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롤 모멘트 제어를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카나드 앞쪽에 두 개의 카메라를 장착해 로켓이 비행하는 동안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낙하산 사출은 페어링 분리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사출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속도계(높이 가속도가 0이 될 시 작동), 타이머(발사 후 최고 고도에 도달 시 작동)의 이중 구조를 사용하였습니다.
    아래는 MLG-1의 발사 영상(2016 NURA)입니다.

  • B2

    B2 (2016년 8월 발사)

    2016년도 8월에 발사된 B2 로켓입니다.
    KNSB(Solid) 추진제를 사용하였으며, L-Class 급(2560-5120 N·s)의 총 충격량을 가집니다.

    B2의 목적은 카나드 핀의 제어로 인하여 자동으로 로켓을 유도하는 시스템에 관한 시험이였습니다. 로켓이 수직으로 날 경우 이론적으로 도달 가능한 높이와, 실험을 통한 실제 도달 높이를 비교하여 유도 시스템의 실효성을 검증할 계획이었습니다. 또한, 카메라등의 전자부품을 탑재시켜 비디오와 각종 비행정보를 얻어 모멘트 제어를 계획이었습니다.
    고체로켓은 근본적으로 연소제어가 힘들다는 단점을 갖고 있으며, 약간의 연소불안성이 있어도 로켓 전체의 궤도 예측이 어려워 집니다. 이때문에 연소기관과 분할이 된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카나드 핀의 제어를 시도했습니다. 카나드는
    MLG-1과는 다르게, B2는 L-class 로켓으로 카나드 핀 제어를 천음속 속도와 큰 가속도(대략 16g)에서도의 실용성을 증명하기 위해 실행하였습니다.
    B2는 발사 중 문제로 인하여 아쉽게도 목표고도를 달성하지 못하였습니다.